위사(僞使, 가짜 사신:왜구)
한국 측은 위사(僞使), 즉 가짜 사신으로 공식 사절 행사를 하기도 한 왜구를
‘통교(通交)’의 위반자로 규정하고, 조선 전기 한일관계사에서 통교위반자가 차
지하는 역할과 의의 등을 제시했다 일본 측은 이에 대해 왜구의 발생, 전개, 확
대, 변용의 과정을 통해 그 실태와 규모를 밝히고 그것이 중세 동아시아 통교권
내 공통의 존재라는 점을 강조했다
위사(僞使, 가짜 사신:왜구)
한국 측은 위사(僞使), 즉 가짜 사신으로 공식 사절 행사를 하기도 한 왜구를
‘통교(通交)’의 위반자로 규정하고, 조선 전기 한일관계사에서 통교위반자가 차
지하는 역할과 의의 등을 제시했다 일본 측은 이에 대해 왜구의 발생, 전개, 확
대, 변용의 과정을 통해 그 실태와 규모를 밝히고 그것이 중세 동아시아 통교권
내 공통의 존재라는 점을 강조했다